- 신재생에너지
- 신재생에너지는 지역난방시스템과 연계할 때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이용이 가능한 에너지입니다. 버려지는 소각열, 매립지에서 방출되는 메탄가스 등을 회수하여 지역난방 열 생산에 활용하고 있으며 목질계 바이오매스, SRF, 하수열, 바이오가스, 지열, 태양열 등도 열병합발전 및 지역난방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유용한 에너지자원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.
태양광
대구, 신안, 분당, 판교, 수원, 양산 등 총 5.8MW규모의 태양광설비를 가동중이며 연간 2.4천MWh(2020년 기준)의 전기생산
전남 신안 태양광 발전설비

동남권 열원 태양광 발전설비

풍력
- 전남신안 풍력(63MW)
- 전남 신안군 자은도에 대규모 풍력발전사업을 추진, 2020년 6월 상업운전 개시(합작사업)
- 양산 풍력사업(10MW)
- 양산 에덴벨리에서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풍력 발전사업 추진, 2014년 5월 상업운전 개시(합작사업)
전남 신안 풍력발전 설비

폐기물 에너지
소각열 및 소각증기
소각열을 활용하여 연간 1,671천Gcal(2019년 기준)의 열을 생산하고 소각스팀으로 79천MWh(2020년 기준)의 전기생산
강남자원회수시설 및 강남지사

마포자원회수시설 및 중앙지사

신재생에너지사업의 확대
- 광주전남혁신도시내 고형연료(SRF)를 활용한 설비규모 22MW + 45Gcal/h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수행중
- 생활폐기물연료화 시설에서 생활폐기물중 가연성 폐기물을 분류선별 후 연료화하여 SRF를 생산하고, 이 SRF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소입니다.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내 공동주택 2만여 세대 및 공공기관, 업무용 건물의 지역냉난방과 전력을 공급함으로써, 연간 약 130억 원의 에너지수입비용을 대체하고 약 12만 톤의 온실가스 절감이 가능합니다
광주전남 지사 SRF 발전시설

매립가스, 바이오가스 및 하수열 활용
- 매립가스(LFG)와 바이오가스를 활용하여 연간 열 158천Gcal, 전기 10천MWh(2020년 기준) 생산
- 서울 난지도, 대구 방천리 쓰레기매립장에서 발생되는 매립가스(LFG, landfill gas)를 포집하여 지역난방 열원으로 활용함으로써, 폐자원 에너지화 및 대기환경 개선에 기여
- 마포 난지물재생센터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사업을 수행
- 하절기에는 대기온도 보다 낮고, 동절기에는 대기온도 보다 높은 지하수, 하수처리수 등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히트펌프로 회수하여 지역난방 열원으로 활용
대구 방천리 매립가스 포집시설

난지물재생 에너지 시설

하수열 에너지 시설


- 가정, 사무실
- 쓰레기 발생
- 매립가스 발생
- 매립가스포집설비
- 쓰레기 매립
- 매립가스 이송배관
- 매립사스정제설비
- 열병합발전소, 열전용보일러 : 가정, 사무실에 지역난방열공급
우드칩
대구지사에서는 산림에서 버려지는 재선충목 등을 이용(가공,파쇄)하여 열 90천Gcal, 전기 17천MWh(2020년 기준) 생산
대구 우드칩 열병합 발전시설

수소 에너지 및 연료전지
-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고효율ㆍ친환경 발전시스템
- 동탄지사에 자체 연료전지 사업(11.44MW + 8.8Gcal/h)과 SPC형태의 노을연료전지사업 (20MW +10Gcal/h)을 운영중
동탄 연료전지 시설
